〈히트맨2〉는 전편이 보여준 액션의 물리성과 유머의 타이밍을 토대로, ‘계획의 설계’라는 주제를 전면에 내세운 속편입니다. 이번 편은 더 크고 화려한 장면을 단순히 덧붙이기보다, 목표에 접근하는 과정 자체를 드라마로 만듭니다. 즉, 어떤 루트로 접근하고, 어떤 장비를 쓰며, 어느 타이밍에 변수를 처리하는가가 이야기의 핵심이 됩니다. 관객 입장에서는 한 편의 작전 브리핑을 따라가듯 긴장을 유지하게 되고, 장면이 끝나면 “어떻게 성공했는가”를 자연스럽게 복기하게 됩니다. 이러한 설계 중심의 접근은 액션을 소모성 볼거리로 만들지 않습니다. 오히려 인물들이 내린 선택의 단가와 책임의 크기를 체감하게 하며, 실패했을 때 치러야 할 비용을 현실적으로 각인시킵니다. 전편의 매력이 주인공 개인의 신체성과 순발력에 있었..
〈미키 17〉은 ‘한 사람의 삶을 여러 번 이어 붙일 수 있다면, 그 삶의 소유권과 책임은 누구에게 귀속되는가’라는 질문을 서사의 엔진으로 삼는 작품입니다. 표면적으로는 낯선 환경에서 수행되는 고난도 임무물이지만, 실제로는 자기 동일성과 기억의 연속성, 노동의 대체 가능성, 사랑과 우정의 지속성 같은 철학적·사회적 논점을 촘촘히 엮어 관객을 끌어당깁니다. 특히 이야기의 핵심 설정은 단순한 SF 기믹이 아니라 인물의 감정선과 딜레마를 밀어 올리는 압력으로 작동합니다. ‘또 다른 나’의 가능성이 열리는 순간, 주인공은 선택의 무게를 두 배로 떠안게 되고, 그 무게는 곧 관계의 단가로 환산됩니다. 이 작품이 흥미로운 이유는 비극적 감수성이나 거대한 음모의 소음에 기대지 않고, 미세한 일상의 징후들—얼굴 근육의..
〈야당〉은 겉으로는 범죄 수사극의 외피를 두르고 있지만, 실제로는 ‘정보가 어떻게 권력이 되고, 다시 거래가 되는가’를 추적하는 구조적 스릴러에 가깝습니다. 사건의 크기를 키워 감정을 몰아붙이기보다, 누가 무엇을 먼저 알고, 그 사실을 언제 어떻게 쓰느냐를 면밀히 따라가며 긴장을 증폭합니다. 덕분에 관객은 거대한 폭발이나 과장된 반전이 아니라, 판단의 단가가 한 칸씩 올라가는 과정을 통해 몰입하시게 됩니다. 연출은 장면마다 선택의 근거를 남겨 둡니다. 인물이 문을 열기 전에 멈칫하는 0.5초, 휴대전화 화면에 스쳐 지나가는 한 줄의 알림, 책상 위 체증처럼 쌓여 있는 서류의 질감 같은 디테일이 선택의 무게를 설명합니다. 배우 조합은 영화의 설계를 뒷받침합니다. 서로 다른 이해관계를 대표하는 세 축—중개자..

